우리는 평소 밥이나, 커피 등을
먹거나 마신후에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기위해
양치질을 하거나 가글을 하는데요.
단순히 입안을 깨끗하게 유지하거나,
입냄새를 줄이기위해, 이가 썩는 충치등을
예방하는데도 중요하지만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소침샘 등의 침샘에 문제나 이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수도 있습니다.
그중 구강청결과 관련이 있다는
침샘비대증은 어떤 질환일까요?
침샘비대증이란?
침샘비대증 뜻은
침샘에 문제나 이상이 발생하여
정상적이지 못하게 커지는것을
말합니다.
영문으로 salivary gland hypertrophy 라고하며,
일반적인 평소 정상보다
좀더 커져있거나, 딱딱 해질때
의심해볼수도 있습니다.
발생 원인
침샘비대증 발생 원인의경우
구강이 비위생적인것이 원인이 될수도 있으며,
타석 감염, 타석 염증이 요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또한 침샘 종양인 타액성 종양 원인의경우
담배, 간접 흡연, 직접 흡연, 술, 음주,
방사선, 바이러스 등에 의하여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증상
임상 증상의경우 비대증으로 인한
침생에 통증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통증과 더불어 발열, 부종 등이
동반될수도 있습니다.
침샘 종양의경우
별다른 아픔이 없거나,
딱딱하게 무언가 만져질수도 있으며,
만약 안면 마비 증상이 같이
동반된다면 악성 종양을
의심해볼수도 있습니다.
진단 검사
임상증상, 초기증상, 의심증상을 토대로,
정밀한 진료를 보아야 하는데
검사 방법의경우
혈액검사, 항체검사, CT, MRI, 초음파검사,
침샘 조영술, 조직검사, 농약 배액 등을하여
진단, 판단, 확진할수도 있습니다.
치료 방법
침샘비대증의 원인에 따라서
치료의 방법이 달라질수도 있습니다.
단순 염증인 침샘 염증의 경우
약물치료인 항생제를 사용할수도 있으며,
종양이나, 악성 종양의경우
수술을 통하여 절제 수술을
시행할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예방 방법의경우
원인이 될수있는 것들에 대하여
주의하는것이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구강 청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치약을 사용한 양치질을 잘 해주거나,
가글등을 하는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수도 있습니다.
여기까지 침샘이 커지는 침샘비대증의
뜻과 기본정보,
발생원인, 진단 검사, 증상, 치료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수암에 포함되는 백혈병과 다발골수종의 치료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0) | 2024.02.22 |
---|---|
난소에 나타나는 머리카락이나 뼈 연골등으로 구성되는 종양인 난소기형종을 아시나요? (0) | 2024.02.20 |
진폐증 검사와 증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0) | 2024.02.16 |
남자 여자 임질 증상과 전염 원인은 무엇이 있을까요? (0) | 2024.02.15 |
소변에서 거품이 나온다면 의심할수있는 질환은 무엇이 있을까? (1) | 2024.02.10 |